사망자에 '8세 소년' 포함…말레이시아 총리도 비판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이달 초부터 시민권법 개정안(CAA) 반대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인도에서 시위를 벌이다 사망한 사람이 24명으로 늘어났다.

연합뉴스는 22일 AFP통신·AP통신 등 외신의 보도를 인용하며 관련 소식을 전했다. 뉴스에 따르면 지난 20일 우타르프라데시주에서 시민권법 개정을 반대하는 시위가 곳곳에서 열려 시위대 14명이 총에 맞아 사망했다.

특히 바라나시에서는 경찰을 피해 달아나는 시위대 인파에 짓밟혀 8세 소년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인도 카르나타카주에서도 2명, 북동부 아삼주에서는 6명이 사망했다.

지난 21일에도 우타르프라데시주 람푸르에서 열린 시위에서 시민 1명이 사망했다. 이에 대해 시위대는 ‘사망자들이 경찰이 쏜 총에 맞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찰은 도리어 시위대가 총을 쐈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지난 11일 국회를 통과한 시민법 개정안은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에서 종교적 박해를 피해 인도로 온 힌두교도, 불교도, 기독교도, 시크교도, 자인, 파르시 신자에게 시민권 신청 자격을 주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인도 헌법은 모든 종교를 공평하게 대한다는 세속주의를 표방하고 있음에도 무슬림(이슬람 신자)을 배제했다는 점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 인구가 13억 5000만명인 인도는 국민들의 절대다수인 80%가 힌두교를 믿으며 무슬림은 14%를 차지한다. 

이에 약 2억명의 인도 무슬림들은 '반무슬림법'이라며 시민권법 개정에 반발해 시위 현장으로 나왔다. 반정부 시위는 무슬림 학생들이 선봉에 섰다.

인도 정부는 시민법개정 관련 시위를 전면 금지하고, 특히 동북부 지역과 뉴델리 일부 지역의 통신망을 차단했다. 지난 금요일부터 시위가 격화되자 통신망 차단 구역을 확대시켰다.

시위가 촉발된 이후 지금까지 7000명 이상이 선전·선동, 시위 현장 폭력 혐의 등으로 구금 조치됐다.

한편 이번 인도 사태와 관련해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는 "인도는 세속적 국가이기에 종료에 따라 시민권 획득 기회를 막아서는 안 된다"며 "무슬림이 정당한 절차로 시민이 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공개적인 비판에 나섰다.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는 자신의 트위터에 "인도 내부 시위가 늘면서 파키스탄에 대한 위협도 커지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썼다. 그러면서 그는 인도 정부가 내부의 관심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파키스탄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의 의사도 내비쳤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