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SBS '주영진의 뉴스 브리핑'에서 첫 TV토론
전국민 재난지원금 필요성에 대해서는 재차 합의
[미디어펜=조성완 기자]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드루킹 댓글조작’ 공모 혐의로 대법원에서 징역 2년 실형을 확정받은 것을 두고 충돌했다. 이 대표는 “청와대의 사과”를 촉구한 반면 이 대표는 “직접 할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양당 대표는 이날 SBS '주영진의 뉴스 브리핑'에서 가진 첫 TV토론에서 이같이 밝혔다.

송 대표는 "여당 대표로서 대법원판결을 존중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여러 가지로 마음 아프고 또 착잡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남도민들에게 죄송하다"면서 "김 지사가 추진해왔던 부·울·경 메가시티, 가덕도 신공항 등 여러 가지 구상을 차질없이 뒷받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송 대표는 다만 ‘청와대나 문재인 대통령이 입장을 낼 만한 사항인가’라는 질문에는 "직접 관련해서 할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SBS '주영진의 뉴스 브리핑'에서 첫 TV토론을 가졌다./사진=SBS 유튜브 화면 캡처

이에 이 대표는 “박근혜 정부 시절, 이명박 정부의 국정원에 의해 행해졌던 그런 행위에 대해 그 당시 문재인 대통령께서 '이것은 청와대가 사과해야 하는 사안이다' 그런 입장을 밝히셨다”면서 “내로남불 소리를 안 들으려면 이에 대해 겸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지금 세 군데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공백을 야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울산도 다른 수사에 비해서 느리게 진행되고 재판도 느리게 진행되는 상황인데, 그러면 도합 네 군데가 행정 마비 사태를 겪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라면서 "이것은 공천을 했던 지도부 관계자들이 굉장히 엄중한 질책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 거기에 대해 당 차원의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문 대통령이 당 대표 시절의 이런 문제에 대한 입장을 그대로 고수하신다면, 당연히 청와대가 사과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당시에는 박 전 대통령 선거캠프에서 일어난 일도 아니고 이명박 정부의 잘못된 공직자들이 그런 판단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정권의 정통성을 공격했었다"면서 “그러면 똑같은 논리로 문재인 정부의 정통성에 대한 공격도 할 수 있겠다”고 꼬집었다.

이어 “하지만 저는 그 부분에 대해서 대통령이 당 대표 시절에 하셨던 말씀만 준용하셨더라도 국민들께 유감 표명을 하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전국민 재난지원금 필요성 재차 합의, 이준석 “추경 총액 늘어나지 않는 선에서 양해”

이와 함께 송 대표와 이 대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관련해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이 필요하다는 기존의 합의를 재확인했다. 다만 지급 시기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을 고려해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소상공인 지원은 대폭 늘리고, 송 대표께서는 카드 캐시백은 실효성이 떨어지니 없애자고 하셨다”면서 “지급 시기는 코로나 방역 기준 상향 때문에 소비진작성 (지원은) 방역과 맞아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이어 "(지급) 시기를 조정하자고 아이디어를 절충해서 갔는데 전국민 재난지원금 합의가 타이틀로 많이 뜨다 보니 이 부분만 부각돼 설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재난지원금은 원내지도부와 합의한 건 결국 추경 총액이 늘어나지 않는 선에서 재난지원금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양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7월 12일 오후 여의도 한정식집에서 회동을 가졌다./사진=국민의힘 제공

당내 반발에 대해서도 "교섭의 여지는 주고 만나야지 외교관도 아니고 본국 훈령을 받아서 모든 협상을 할 수는 없다"며 "막힌 것을 뚫는 게 역할이라면 더 넓어져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송 대표도 "코로나 상황의 재난 위로금 성격이라면 20%, 1000만명을 가르느라 행정비용이 들고, '나는 왜 안 주냐'는 논란이 있는데 이 대표가 열린 자세를 보여줬다"며 "25만원을 줄여서 전국민을 주더라도 괜찮지 않겠느냐는 생각이다. 윤호중 원내대표에 맡겨놨다. 여기도 김기현 원내대표에 맡겨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 대표는 "코로나 사태에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지원을 늘리고, 방역 상황과 맞지 않는 소비진작성 재난지원금은 신중히 검토한다는 게 당론"이라며 "저희가 주장한 가장 어려운 분들이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면서 민주당은 민주당 생각대로 경기진작과 부양 효과가 있다면 일정 부분 열어놓고 생각하겠다는 게 합의"라고 재차 강조했다.

양당 대표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심화됨에 따라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을 우선 지원한다는 점에서도 입장을 함께 했다.

송 대표는 "소상공인 지원을 3000만원까지 늘리고, 직접적인 행정명령 대상이 아닌 업종도 실질적인 피해를 받으면 지원 업종을 확대시키는 논의가 될 것이고 시급히 지원돼야 한다"면서 "전국민 재난지원금은 코로나 방역 상황 때문에 시기가 시급한 건 아니고, 조정이 필요하다. 일단 소상공인 지급이 시급히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도 "액수에 대한 논의와 방식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언제가 가장 재난지원금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기인지 논의해야 한다"고 동의했다.
[미디어펜=조성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