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율 75% 확보…서울시 비주거시설 규제 철폐 시 사업성↑ 전망
[미디어펜=서동영 기자]남성역 역세권활성화 재개발정비사업(남성역 역세권활성화사업)이 한국토지신탁을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기 위한 주민 동의율 75%를 확보했다.

   
▲ 남성역 역세권활성화 재개발정비사업 조감도./사진=한국토지신탁

14일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 동작구 일대에 위치한 해당 구역은 지난 1월 초, 서울시로부터 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 받았다. 통상 3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정비구역 지정이 1년 6개월 만에 이뤄졌다.

한국토지신탁 관계자는 “해당 현장은 주거환경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토지등소유자의 개발에 대한 의지가 높은 곳”이라며 “한국토지신탁의 사업참여로 추진 동력을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비계획 결정으로 해당 구역 용도지역이 기존 제2종,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와 근린상업지역으로 각 2단계씩 상향됐다. 이에 따라 2만여 제곱미터 부지에 지하 6층~지상 37층 규모의 공동주택 519가구와 오피스텔 54실, 근린상가, 문화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최근 서울시는 ‘규제철폐’를 시정 화두로 삼으며 ‘상업‧준주거지역 내 비주거시설 비율 폐지 및 완화’를 통해 지구단위계획 변경에 직접 나서기로 한 바 있다. 남성역 역세권활성화사업 역시 준주거지역, 근린상업지역에 해당돼 시의 규제철폐 속도전의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의 개정된 ‘지구단위계획수립기준’에 따르면, 기존에 계획된 수익성이 낮은 2층, 3층 상가 의무 비율이 줄어들고 아파트가 약 60가구가량 더 공급돼, 상가 분양의 위험부담은 감소하면서 정비사업의 사업성은 높일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남성역 역세권활성화사업은 이달 중 한국토지신탁을 사업시행자로 지정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토지신탁은 이후 신속한 인‧허가 획득 및 이해관계자간 조율 등 사업시행자로서의 업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