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50%의 추과 관세 부과를 경고했다. 반면 중국 외 다른 나라들과는 관세에 대한 협상을 개시했다.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가 25%의 관세가 부과된 한국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 지 주목된다.
|
 |
|
▲ 지난 4월3일 상호관세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8일까지 중국이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가 9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맞서 같은 세율(34%)의 대미 보복관세를 예고한 데 따른 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자신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중국이 요청한 미국과의 모든 대화는 취소될 것"이라면서 "미국과의 회담을 요구한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미국 입장에서 교역 대상 중 양자 무역 적자 규모가 가장 큰 중국과, 그외 다른 나라에 대해 '분리 대응'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미국은 오는 9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60여 개 국가에 대해서는 기본관세율(10%) 이상인 상호관세로 기본관세를 대체한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중국에 대해서는 34%, 일본에 대해서는 24%의 관세율이 각각 적용된다.
이들 나라 중 중국은 똑같은 세율의 대미 보복관세를 발표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다시 50%의 추가 관세를 거론함에 따라 미중간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중국으로서는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원료 반입 문제와 관련해 20%의 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34%의 상호관세와 50%의 추가 관세까지 부과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104%의 관세를 물게 된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에 고율의 관세로 대응한 대표적인 국가다.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 다른 나라들이 중국과 같은 맞불관세 대열에 합류하는 것을 저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또한 미국 증시가 사흘째 폭락하며 관세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는 상황에서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기보다는 당분간 중국에 화력을 집중하겠다는 의중도 엿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들과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함에 따라 한국의 경우 8∼9일 미국을 찾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문 계기에 대미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 본부장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긴급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번 방미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의 긴급 지시로 이뤄졌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