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미국 트럼프 정부가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재차 강조하면서 다수 기업들의 생산 전략과 수출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에 국내 전자 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제공 |
14일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전자제품은 관세 예외가 아니라 단지 다른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며, 국가안보 관세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들여다 볼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그는 "관세를 완전히 면제해준 것은 아니다"라며 "별도 관세 부과를 위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했다. 그는 "곧 발표될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국가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를 비롯해 전체 전자제품 공급망을 살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드러난 것은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는 것, 중국과 같은 적대적 무역국가들의 인질로 잡혀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1일 발표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반도체 제조장비,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등을 제외한다고 했다.
이를 두고 미국 언론과 업계에서 전자제품은 아예 관세에서 면제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으며, 트럼프가 강경 기조에서 한발 물러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 같은 혼선이 발생하자 트럼프는 직접 나서 해당 품목들이 상호관세에서만 제외될 뿐 앞으로 진행할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통해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못 박았다.
국내 전자 기업들은 변화 무쌍한 관세 정책을 예의주시하며 리스크 최소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베트남과 같이 중국을 우회한 동남아 생산기지까지 압박하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전략이 짙어지자, 상황에 따른 수출 전략을 재구상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삼성전자는 멕시코 생산 라인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산업적·지리적으로 특수 관계인 캐나다와 멕시코는 일단 상호관세 예외 적용을 받는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전 세계 약 10개의 생산 거점을 활용해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생산지를 조정하는 유연한 공급망 운영 전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고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
 |
|
▲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모습./사진=삼성전자 제공 |
삼성전자는 멕시코 티후아나 공장에서 TV를, 케레타로에서 냉장고·세탁기·건조기 등을 생산해 미국 공장에 공급 중이다. 다만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는 베트남 생산기지 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까지 베트남 스마트폰 생산분 대다수를 미국이나 유럽연합(EU)에 수출했는데, 관세 장벽이 생긴 만큼 이 방식에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의 경우 미국 내 생산시설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370억 달러(약 53조 원)를 투자하여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2곳과 연구개발(R&D) 센터를 건설 중이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 공장에 창고시설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기존 세탁기·건조기 공장이 있는 125만㎡ 부지 내에 약 5만㎡ 규모의 창고시설을 새로 짓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현지 공급 물량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다.
신축 창고를 짓기 위해 LG전자는 최근 미국 클락스빌·몽고메리카운티 산업개발위원회(IDB)에 테네시 공장 옆 부지에 창고시설 건설을 위한 인허가를 냈다. 시장에선 이 창고 공간이 향후 생산라인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온다. LG전자가 현재 테네시 가전 공장에서 생산하는 폼목은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다.
특히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달 주주총회에서 "멕시코에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하면 마지막 방안으로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냉장고·오븐 등을 다 생산할 수 있도록 용지를 준비해놨다"고 언급한 만큼 현지 생산 라인을 신설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