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LG전자가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인도에서 현지 증시에 상장하며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의 거점을 본격 가동했다. 인도 경제성장과 함께 현지 시장에서 국민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포부다.
|
 |
|
▲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에서 14일(현지시간) 열린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식에 참석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사진=LG전자 제공 |
LG전자 인도법인(LG Electronics India Limited)은 14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 신규 상장했다. 이날 개장식에는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김창태 (최고재무책임자(CFO), 전홍주 인도법인장, 송대현 인도법인 이사회 의장 등이 참석했으며, 아쉬쉬 차우한(Ashish Chauhan) NSE CEO와 함께 타종식을 진행했다.
이번 공모에서 LG전자는 인도법인 지분 15%인 1억181만여 주를 구주매출 형태로 처분했다. 공모가는 희망 밴드 상단인 주당 1140루피(약 1만8000원)로 확정됐으며, 배정청약에는 공모 주식 수의 54배에 달하는 자금이 몰렸다. 공모가 기준 인도법인 기업가치는 12조 원을 웃돌며, LG전자는 이를 통해 약 1조8000억 원의 현금을 국내로 환수했다.
조달된 자금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재무건전성 제고, 주주가치 향상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인도법인을 생산·판매·R&D 전 과정을 아우르는 완결형 현지화 기업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조 CEO는 “이번 상장은 LG전자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에서 인도가 중추적 역할을 하는 거점 국가로 발돋움하는 계기”라며 “LG전자와 인도법인의 성장을 동시에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인도 현지 맞춤형 비전으로 △‘인도를 위해(Make for India)’ △‘인도에서(Make in India)’ △‘인도를 세계로(Make India Global)’를 제시했다. 현지 소비자 맞춤형 제품을 강화하고, 제조·R&D·서비스 등 전 밸류체인을 고도화해 인도 경제성장의 동반자로 나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인도 노이다, 푸네 공장에 더해 6억 달러를 투입해 스리시티 지역에 신공장을 구축 중이다. 완공 시 연간 생산능력은 냉장고 360만 대, 세탁기 375만 대, 에어컨 470만 대 등으로 확대된다. 또 벵갈루루의 SW 연구소를 중심으로 AI·SoC·플랫폼 등 차세대 기술 연구개발에도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LG전자는 상장과 함께 인도 고객을 위한 특화 가전 4종(냉장고·세탁기·에어컨·마이크로오븐)을 공개했다. 현지 생활환경과 구매력, 디자인 취향을 반영해 개발된 ‘국민가전’ 라인업으로, 내달부터 순차 출시될 예정이다.
LG전자는 인도에서 단순한 외국기업이 아닌 ‘국민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해 사회공헌 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현지 법인은 글로벌 경영평가기관 GPTW로부터 2년 연속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LG 희망기술학교’, ‘라이프스굿 영양식단’, ‘대국민 헌혈 캠페인’ 등 지역사회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 중이다.
LG전자는 이번 상장을 계기로 인도를 글로벌 사우스 전략의 핵심 허브로 삼고, 신흥 시장 성장 기회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