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삼성복지재단이 한국보육진흥원과 함께 ‘2025년 영유아 발달지원 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하고, 전국 보육현장에서 추진된 영유아 행동·정서 지원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사업은 부적응 행동 개선과 교사 지원을 통한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 기반 마련을 목표로, 지난 3월부터 약 8개월간 전국 단위로 진행됐다.
| |
 |
|
| ▲ 22일 서울 용산구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에서 열린 보고회 현장 모습./사진=삼성복지재단 제공 |
22일 서울 용산구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에서 열린 이번 보고회에는 전국 어린이집 원장·교사, 육아종합지원센터 관계자, 아동행동전문가, 교육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약 200명이 참석했다. ‘아동행동전문가 현장방문 지원’과 ‘육아종합지원센터 발달검사 및 상담 지원’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된 이번 사업은 전국 3200여 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했다.
‘아동행동전문가 어린이집 현장방문 지원’은 공격성·불안·산만 등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아동을 위해 전문가가 어린이집을 직접 찾아 맞춤형 지도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이다. 전국 150여 개 어린이집, 약 180명의 영유아와 담임교사가 참여했으며, 사업 전후 비교 결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 빈도와 교사의 심리적 부담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육아종합지원센터 발달검사 및 상담지원’ 사업은 전국 10개 센터에서 약 3000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발달검사 결과에 따라 전문가 상담과 치료기관 연계가 이뤄졌으며, 전문기관 접근이 어려운 지역(순창·임실 등)에서도 참여율이 높았다.
성과 공유 이후 연세대학교 박주희 교수는 ‘영유아 발달지원의 중요성과 의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박 교수는 “문제행동의 조기 발견과 개입은 아동이 낙인되는 것을 예방하고, 교사의 전문성과 심리적 안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며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실제 사업에 참여한 보육교사, 아동행동전문가, 육아종합지원센터 관계자들의 생생한 현장 사례도 함께 소개됐다. 보고회 참석자들은 이후 리움미술관 전시를 관람하며 예술을 통한 힐링의 시간도 가졌다.
조용남 한국보육진흥원 원장은 “삼성복지재단과 함께한 이번 사업은 보육 환경 변화에 발맞춰 아이 한 명, 한 명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뜻깊은 시도였다”며 “이번 성과가 영유아 발달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류문형 삼성복지재단 총괄 부사장은 “이건희 선대회장의 설립 이념인 ‘함께 잘 사는 사회’ 실현을 위해 아동행동전문가를 최초로 양성·파견하며 보육현장을 실질적으로 돕고 있다”며 “앞으로도 영유아 발달 문제는 물론, 교사들의 정서적 회복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사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보육진흥원은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한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어린이집 품질 관리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 △가정양육 및 부모지원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삼성복지재단은 이와 협력해 △아동행동전문가 양성·파견 △영유아 발달지원 플랫폼 구축 △유아 마음성장 프로그램 보급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등 미래세대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보육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