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미국 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시작된 무역 전쟁으로 인해 서민들이 고통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한 달여 만에 병든 미국 경제를 치유하겠다는 공약으로 인해 고통이 수반될 수 있음을 암시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황금시대를 약속한 트럼프 행정부가 잇단 관세 부과와 번복이 무역 전쟁과 주식 시장 급락을 초래하는 가운데 정부 기조가 다소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취임 후 첫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관세는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고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드는 것에 관한 것"이라며 "약간의 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별로 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관세 부과로 인해 조정을 받고 있는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나는 시장을 보지도 않는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지금 벌어지는 일들 덕분에 미국은 매우 강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말해 큰 문제가 아님을 강조했다.
일자리에 대해서는 "노동 시장은 아주 좋아질 것이다. 다만 정부 일자리 대신 고임금 제조업 일자리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고용률은 시장 예상치에 다소 못 미쳤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단기적인 고통이 있더라도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는 게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미국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각종 경제전망은 미국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경제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지디피나우(GDPnow)는 지난 6일 올해 1분기 미국 경제성장률을 -2.4%(전기대비 연율 기준)로 제시했다. 지난달 3일 전망값 3.9% 증가와 비교해 한 달 만에 6.7%포인트를 낮췄다. 알리안츠는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이 연초 10%에서 최근 25~30%까지 증가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같은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재정 지출 의존을 낮추기 위해 미국 경제에 해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선 확대가 부유층을 위한 경제 정책들을 숨기려는 수단일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한 헤더 부셰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공화당이 추진 중인 감세 연장, 연방 정부 기관의 인력 및 예산 감축과 같은 정책들을 가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정책들이 부유층에게 혜택을 집중시키는 반면 서민들에게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