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AI·차세대 배터리 전방위 투자 속도
[미디어펜=김견희 기자]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16일 밝혔다. 글로벌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와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반도체·AI·디스플레이·차세대 배터리 등 핵심 사업 전반에서 공격적 투자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반도체 생산 핵심 거점인 평택캠퍼스 2단지의 5라인(5공장) 골조 공사 추진을 승인했다. 평택 신규 5라인은 2028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며, 중장기적으로 확대될 메모리 수요와 AI 관련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생산 기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수도권 외 지역에 대한 전략적 투자도 강화한다. 삼성SDS는 전남 지역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조성한다. 국가 AI컴퓨팅센터 SPC(특수목적회사) 컨소시엄의 주사업자인 삼성SDS는 2028년까지 총 1만5000장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확보해 학계·스타트업·중소기업에 컴퓨팅 자원을 공급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이달 초 인수를 완료한 플랙트그룹의 한국 생산라인 구축도 본격화해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서버용 반도체 패키징, 고성능 모듈 등 AI 데이터센터 생태계 전반에 걸친 공급 역량을 확대한다.

차세대 배터리 분야에서도 국내 생산기반 확충이 추진된다. 삼성SDI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 거점 확보를 검토 중이며, 울산 사업장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서 구축 중인 8.6세대 IT용 OLED 생산 라인을 기반으로 내년부터 본격 양산에 나선다. 삼성전기 역시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공급 확대를 위해 부산 생산라인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삼성은 신입사원 공채 확대 외에도 다양한 사회공헌사업(CSR)을 통해 청년층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