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원장·예결특위위원장 선출 안건 미상정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21대 국회 원구성이 또다시 미뤄진 가운데 여야가 '네탓' 공방을 벌였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 12일 본회의를 개최했으나, 상임위원장·예결특위위원장 선출 안건을 상정하지 않고 산회했다. 이날 회의에는 더불어민주당·정의당 등이 참석했으며, 미래통합당은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만 항의 발언을 하기 위해 자리했다.

김영진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은 내줄 수 있는 최대치를 뛰어넘는 최대 양보안을 마련했으나, 통합당이 의원총회에서 거부했다"면서 "야당과의 지지부진한 협상에 얽매이지 않겠다"고 선포했다.

반면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문재인 대통령은 연일 여야 협치를 밀하고 있지만, 거대여당 민주당은 수적 우위를 내세워 야당을 무시하고 있다"며 "승자독식으로 국회를 독단 운영할 경우 국회가 국론 분열의 장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 박병석 국회의장이 12일 국회 본회의에서 오는 15일까지 여야 원구성 합의를 요구하며 산회를 선포하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회의장을 나서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에 앞서 여야는 이날 상임위원장을 11대 7로 분배하고 법사위원장은 민주당, 예결위원장은 야당이 가져가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협상 타결을 기대했으나,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해 유감"이라면서 "의장으로서 여야 합의를 마지막으로 촉구하기 위해 3일간 시간을 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는 15일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 선출 건을 반드시 처리하겠다"며 "20대 국회도 6월13일 원구성을 했는데, 국가적 위기상황인 21대 국회에서 그때보다 늦어지고 있다"며 교섭단체 대표들에게 리더십을 촉구했다.

한편, 여야는 예결위·국토위·정무위·환노위·문체위·농림위를 비롯한 7개 상임위를 야당 몫으로 배정하는데 교감을 형성한 바 있으나, 여야 모두에서 이와 관련한 불만의 목소리가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