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 아시아나항공 구주 3100억 받을 수 있을지 의문
HDC현산, 계약금 2500억원 일부만 돌려받은 수도
산은, 부실 규모 거대 항공사 떠안게 될 가능성에 '발등에 불'
아시아나, 매각이 최선이라면서도 내부적으로는 구조조정에 '벌벌'
   
▲ 아시아나항공 에어버스 A350./사진=아시아나항공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을 둘러싸고 금호산업·HDC현대산업개발·한국산업은행·아시아나항공 4자 간 첨예한 입장이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2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금호산업은 지난 8일 현산에 거래종결 차원에서 대면 협의를 촉구했다. 현산 측이 인수의지가 있다고 수차례 밝히면서도 보도자료나 공문을 통해 일방적인 입장을 발표하며 주식매매계약(SPA)를 계속 미뤄왔기 때문이다.

   
▲ 금호산업 로고./사진=금호산업


금호산업은 "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대한 진정성에 의심이 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거래종결 절차를 지연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금호산업이 몸이 달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아시아나항공 구주 가격 3100억원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인 것에 기인한다.

그룹 주력 계열사인 금호고속 마저도 코로나로 인해 창사 이래 최악의 상황에 직면한 만큼 금호산업으로썬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HDC현대산업개발 본사 전경./사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현산은 금호산업 측이 협상장에 나오기를 요구하자 지난 9일 이 제안을 전격 수용했다. 아시아나항공 인수 종결 시한을 앞두고 재실사를 요구했던 현산은 "지금부터라도 인수인과 매도인이 서로 만나 이에 대한 협의를 조속히 진행하자는 것이 기본적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매도인 금호산업의 선행조건 충족의무가 여전히 이행되지 않은 탓에 인수종결을 위해 인수상황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여전히 현산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겠다는 입장이나 항공업계에서는 사실상 인수 의지가 없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업계는 아시아나항공 부채는 점점 늘어나는 판국에 인수 계약을 했다면 벌써 했을 것인데 시간을 너무 끌어왔다는 점을 들고 있다.  12월 협상 종결시한까지 뜸을 들이다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서재환 금호산업 대표이사와 권순호 현산 대표이사는 지난 20일 서울 모처에서 처음 만나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은 이날 오후 4시 경 종료됐고, 논의 내용은 비밀에 부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양 측의 입장 차가 워낙 컸던 만큼 일회성 회동으로 담판 짓기가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일각에서는 현산이 생색내기 또는 명분 쌓기 차원에서 협상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또한 2조5000억원에 달하는 M&A의 계약금 2500억원 중 일부만 되돌려 받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한국산업은행 로고./사진=한국산업은행


아시아나항공 M&A를 둘러싸고 채권단인 산업은행도 이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산은의 경우 두 회사 간의 거래가 어그러질 경우 부채 규모가 큰 대형 항공사를 떠안게 될 수 밖에 없어 부담감이 커진다.

또한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국유화를 언급했고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정부'를 캐치 프레이즈로 내걸고 있는 만큼 산은이 주도적으로 인력 구조조정 등 경영 정상화를 제대로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것도 한 몫씩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해 이동걸 산은 회장은 전날 정몽규 현산 회장의 인수 의지를 최종 확인하기 위해 공식 면담을 제안했다. 거래 종결 시한을 이미 한참 넘겼고 이에 따라 무산 위기까지 거론되는 아시아나항공 인수 협상에 마지막 돌파구가 마련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아시아나항공 카운터./사진=연합뉴스


피매각 기업 아시아나항공도 술렁이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아시아나항공은 현산으로 팔려가거나 산은 관리 체제로 들어가거나 또는 금호산업이 그대로 경영하게 될 것이라는 게 외부 시각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구조조정의 칼날이 드리우지 않을지 걱정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우리 입장에서는 매각이 성사되면 2조5000억원의 현금이 들어올 수 있어 팔려가는 게 현 시점에서는 가장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 정책만 놓고 보면 구조조정이 따르지 않을 것 같지만 업황이 더 나빠지면 장담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도 했다.

아울러 "매각 절차상 하자가 생길 경우 전체 직원 60% 이상이 짐을 싼 이스타항공의 사례처럼 직원들이 느긋함을 보일 수가 없다"고 부연했다.
[미디어펜=박규빈 기자] ▶다른기사보기